담배냄새와 공황장애 약 임의 중단과의 관계
코에서 담배냄새가 나요. 이유가 뭘까요?
52세 주부, 담배 피워본적 없어요. 아파트 11층
남편은 집에서 안 피우고 양치 잘해요. 각방써요.
한번 시작하면 3시간쯤 지속.
평균 2일에 1~4회. 증상발생 시간 불규칙.
안경걸치는 부분 쯤에서 찌르듯 냄새가 파고 들어옴.
냄새 땜에 잠 못자고 코 막느라 일상생활 불편.
가족은 냄새 못 느끼는데 나만 ㅠㅠ
이비인후과 진료 결과 비염 충농증 건조 염증 등 이상없음.
비상구
2024.03.27
-------------------- 라는 질문을 남긴 사람입니다. 이에
실제 담배와는 관계없이
혼자만 갑자기 코에서 담배 냄새나 탄 냄새가 난다면
일차적으로 의심해 보아야 하는 질환은 비염이나 축농증 이지만 이비인후과 일차 검사에서 정상으로 들으셨으므로
다음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은
코의 문제인 심부 축농증이나 위축성 비염,
신경의 문제로 후각세포 손상 및 뇌질환,
신경정신과적으로 스트레스성 환후각 등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.
코의 문제에서 심부 축농증은
가장 흔한 상악동 축농증 이외에 더 깊은 부위의 축농증을 의미하며,
위축성 비염은 코점막이 위축되어 발생하는 비염으로
그 증상의 일부로 취비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.
요즘같이 건조한 시기에는 비강 점막이 정상적으로 습도를 조절하지 못하고
코점막이 매우 건조해지면서 담배 냄새나 탄 냄새와 같은 악취가 나고,
딱지가 잘 생길 수 있습니다.
신경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
후각세포에서 뇌의 후각 영역 경로 중 생길 수 있는
뇌종양이나 간질성 질환, 그리고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
후각세포 손상 등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.
마지막으로 코와 신경에 전혀 문제가 없는 경우에는
신경정신과적인 스트레스 원인 규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결론적으로 우선 스스로 할 수 있는 코점막 기능 회복으로
식염수 코 세척을 자주하고 이비인후과 치료를 꾸준히해보시고,
그래도 증상이 지속된다면 신경과 및 신경외과에서
뇌신경 이상이나 심부 축농증은 없는지 검사가 필요하며
만일 모든 결과에서 이상이 없다면
신경정신과 진료를 보시기를 추천합니다.
------------------라는 답변을 받았습니다.
그런데 질문이 더 있어서요.
이비인후과에서 무슨 젖은 솜을 콧속 깊숙히 넣은 후 일정시간이 지나 빛이 나오는 쇠막대기 즉 무슨 내시경 같은 것으로 깊숙히 집어넣어 보셨는데... 이건 말씀하신 단순 일차검진일뿐인가요? 아니면 말씀하신 심부축농증이나 위축성비염등도 검사하신걸까요?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라는 질문을 더 남겼는데
보통 이비인후과 일차 검진은 코 내시경등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확인하는 것입니다.
즉 코의 내부중에서 안쪽이 아닌 겉면을 확인하는 것입니다.
부비동염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CT. MRI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
--------------------라는 답변을 받았습니다.
진짜 마지막 질문인데요.
5년간 먹어온 우울증 및 공황장애 약을 23년 12월에 임의로 중단했습니다. 담배냄새는 1월중순부터 시작된것 같고요. 관련있을까요? 즉, 이비인후과쪽 부비동염이나 심부 축농증보다 더 원인일 가능성이 있나요?
[정신건강] 공황장애